HomeFood-cooking2022년 대한민국 아이스크림 판매순위: 빙그레 투게더 1위, 매출 340억 6900만원 돌파!

2022년 대한민국 아이스크림 판매순위: 빙그레 투게더 1위, 매출 340억 6900만원 돌파!

이 연재글은 음식-요리의 1번째 글입니다.

대한민국에서 작년 매출 기준 아이스크림 판매순위 1위는 빙그레의 투게더로 단일 상품으로만 340억 6900만원의 매출을 기록하였다.

1위 빙그레 투게더

매출액: 340억 6900만원

투게더는 미국 퍼모스트 멕킨사와 제휴하여 1974년, 대한민국에서 최초로 생우유를 넣은 고급 아이스크림으로 출시했다. 2020년 매출액 기준으로 한국에서 가장 많이 팔린 아이스크림이다.

빙그레 투게더

2위 빙그레 붕어싸만코

매출액: 329억 9200만원

싸만코라는 이름은 “싸고, 많고(싸고만코)”에서 나왔다. 1976년 싸만코라는 이름의 아이스크림이 처음 출시되었는데, 이 때는 팥과 바닐라 아이스크림이 속에 채워진 사각형 아이스 모나카 제품이었다. 겨울에 먹는 붕어빵을 여름에도 먹게 해보자는 아이디어로 출발, 1987년부터 2년 연구 개발, 1년 시장 분석 후에 1990년 3월 1일 붕어싸만코를 첫 출시했다고 한다. 붕어싸만코 초기 출시 때에는 엄청난 인기를 불러일으켰다.

빙그레 붕어싸만코

3위 하겐다즈

매출액: 328억 8600만원

하겐다즈는 폴란드계/유대인 부부 루벤 매투스와 로즈 매투스가 1960년 뉴욕시에서 만든 아이스크림 브랜드다. 제너럴 밀스가 소유하고 있으며 세계 각국에서 판매되고 있는 인기 아이스크림 브랜드이다.

하겐다즈

4위 롯데 월드콘

매출액: 302억 5600만원

롯데제과에서 1986년 출시한 콘류 아이스크림으로 해태제과의 부라보콘과 달리 초콜릿 알갱이가 들어 있고, 크기가 더 크다.

롯데 월드콘

5위 빙그레 메로나

매출액: 237억 9100만원

빙그레에서 1992년 1월 출시한 초록색 멜론 맛 아이스크림으로 멜론에 크림을 적당히 섞은 듯한 맛이며, 출시 당시부터 이후에도 엄청난 인기를 끌어 남녀노소 사랑받고 있으며 매년 빙과류 판매 상위권을 차지하고 있다.

메로나

6위 해태 부라보콘

매출액: 206억 4300만원

1970년 해태아이스에서 출시한 대한민국 최초의 콘 아이스크림이다. 빙그레가 해태제과의 아이스크림 부문을 인수하면서 사실상 빙그레 아이스크림이지만 상표는 여전히 해태 부라보콘이다. 2010년까지 40년간 40억개가 판매돼서 가장 많이 판매된 아이스크림 기네스 세계기록에도 올랐다.

브라보콘

7위 롯데 구구콘

매출액: 194억 2000만원

미국 스탠더드 캔디 사(Standard Candy Company)에서 라이센스받아 롯데제과에서 출시한 아이스크림이다. 원래 오리지널 미국 구구 크러스터(GooGoo Cluster)는 머쉬멜로우, 아몬드, 캐러멜, 초콜릿을 입힌 초콜릿 바로 미국내에서는 초콜릿 바의 원조 및 추억의 간식으로 여겨지는 제품이다. 그 후 부라보콘의 영향을 받아 구구콘을 출시하여 큰 히트를 치게 되고 지금에 이르게 된다.

롯데 구구콘

8위 롯데 빵빠레

매출액: 187억 2200만원

1983년에 출시되어 상당히 오래 판매된 아이스크림으로 지금도 판매되고 있다. 아이스크림 부분을 거의 다 먹으면 플라스틱 곽 안의 과자 부분을 꺼내기 번거로워지기도 한다. 초기에는 보기 드물었지만, 최근엔 과자 부분 안에까지 아이스크림으로 차있다. 김대중 전 대통령이 비비빅과 함께 매우 좋아하여 즐겨먹던 아이스크림이다. 오죽하면 당뇨 문제 때문에 이희호 여사가 빵빠레를 못먹게 하려고 청와대 인사들에게 남편 빵빠레 금지령을 내렸지만, 몰래 잘만 먹었다고 한다. 가끔씩 이 여사 앞에서 ‘나 오늘 빵빠레 먹었다!’ 이러면서 놀리기도 했다고.

롯데 빵빠레

9위 롯데 나뚜루

매출액: 173억 8000만원

나뚜루는 롯데웰푸드가 운영하는 아이스크림 브랜드다. 이름의 유래는 Nature(자연)과 Tour(여행). 신선한 우유와 천연 고급 재료의 프리미엄 아이스크림을 표방하고 있다. 하겐다즈와의 차별을 위해서인지 존재하는 소르베라고 불리는 셔벗 계열 과일 아이스크림도 나름 유명한데, 전문점에만 볼 수 있다. 하겐다즈의 진한 맛과 달리 과일 특유의 새콤달콤하며 깔끔한 맛을 선보인다.

롯데 나뚜루

10위 롯데 더블비얀코

매출액: 149억 2300만원

1993년부터 생산되기 시작한 롯데제과의 아이스크림이다. 비얀코(비앙코)란 이탈리아어로 흰색, 백포도주를 뜻한다. 요거트 통 크기의 플라스틱 통에 하얀색 사과맛 샤베트를 담고, 그 위에 딸기 시럽을 얹은 아이스크림을 세로로 쌓아서 만든다. 더블이라는 이름은 이에 따른 것. 아래쪽 붉은 캡을 열면 안에 작은 숟가락도 첨부되어 있다.

더블 비얀코

11위 빙그레 빵또아

매출액: 138억 6500만원

빙그레에서 1993년에 출시한 아이스크림 샌드위치로 부드럽고 얇은 두 개의 카스테라 빵 사이에 쿠키 앤 크림 아이스크림을 블록 모양으로 넣은 제품이다. 제품명의 유래는 ‘빵 먹고 또 아이스크림 먹고’를 줄인 말로 알려져 있다.

빵또아

12위 허쉬 아이스크림

매출액: 137억 900만원

허쉬 아이스크림

13위 빙그레 비비빅

매출액: 130억 7800만원

1975년 빙그레에서 만든 바 형태의 팥맛 아이스크림이다. 팥이 달아서 그런지 사람들에게 은근히 인기가 많아 40년 넘게 장수하고 있는 아이스크림이다. 1999년경 사이즈가 커지면서 빅비비빅이라고 잠시 나왔다가 얼마 안 돼서 비비빅으로 돌아왔다. 경쟁 상품으로는 빙빙바가 있다.

빙그레 비비빅

14위 롯데 빠삐코

매출액: 113억 4900만원

롯데웰푸드(구 롯데푸드, 롯데삼강)에서 만드는 쭈쭈바 형태의 빙과로 1981년 출시하였다. 여러가지 맛이 있었지만 인기를 끈 초코맛이 주력 상품으로 남았다. 일본의 빠삐코를 표절한 상품인데, 다만 용기의 형태는 오히려 탱크보이나 뽕따 쪽이 그것과 유사하다. 다른 모방 제품과는 달리 이름도 동일하고 상표도 롯데다 보니 일본 관광객들은 대부분 일본 빠삐코의 한국판으로 생각한다고 한다.

빠삐코
연재글 이동녹차 우린물로 맛과 건강 UP! 짜파게티 레시피와 요리팁 [다음글]

Must Read

제임스 비어드상 수상한 사찰음식의 대가 넷플릭스 정관스님

0
정관스님 정관스님은 전남 장성군 백양사의 승려이다. 가을 단풍철에는 백암산 단풍과 절 앞의 호수가 아우러저 아름다운 것으로 유명해서 내장산 계곡과 더불어 어마어마한 수의 관광객이 방문한다. 이 절의 비구니 정관 스님이 사찰 음식으로 상당히 유명하다. 불교 신자인 프랑스 출신의 유명 셰프인 Éric Ripert과도 친분이 있으며, 미국에서 그가 하는 TV 프로그램에 출연하기도 하였다. 또한, 넷플릭스의 음식 다큐멘터리인 Chef's Table의 시즌 3에도 출연하여 이 때문에 베를린 영화제에도 공식 초청되기도 하였다. Netflix...

Most Popular

베스트셀러 작가로서 제 2의 인생을 살고있는 사쿠라 마나

0
어른 비디오로 유명한 배우 사쿠라 마나 어른 비디오 배우로 유명한 사쿠라 마나는 특별한 재능을 숨기고 있었는데... 놀라운 필력을 숨기고 있던 사쿠라 마나 사쿠라 마나는 놀라운 필력을 숨기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