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에서 34년만에 태어난 다섯 쌍둥이 남매
- 일년에 단 한번만 물고기 잡는 사막의 도곤족
- 1인 1멍 귀농 – 반려견 위키와 귀농한 디시인 이야기
- 장애인 아빠와 소년 소녀 천사의 이야기 그 후 4년
- 바둑의 신 이창호와 이세돌의 복기와 관련된 일화
- 퇴역 군인 미모의 딸 답게 아파트 층간소음은 가볍게 웃어넘기는 배우 박보영
- 대한민국 걸그룹 비주얼 여신 TOP 11: 대한민국 걸그룹 아름다움의 끝판왕 멤버들
- 미국이 수여하는 최고의 명예 훈장 Medal of Honor: 용맹한 군인에게 주어지는 영광과 혜택
- 개그우먼 김신영: 예능계에서 활약하는 개그우먼의 다양한 활동과 노하우 공개, 하루에 2분 운동하여 8키로 감량한 홈 트레이닝 비법
- 최연소 푸드카빙 실력자, 11살 박수빈의 카빙 작품과 꿈
- 한국의 카지노산업을 선도하는 파라다이스 그룹의 알려지지 않은 놀라운 이야기 feat. 전청조
- 전성기 강호동을 찍소리도 못하고 벌벌떨게한 씨름감독 김학용
- 창령사 터에서 발견된 316점의 나한상, 신비로운 불교 유적의 비밀
- 작은 선행이 만든 기적, 혼자 밥 먹던 아이와 도서관 선생님의 감동 실화. 100권의 편지, 20년을 잇다

교회에서 예배드리고 밥을 먹는데, 한 아이가 혼자 밥을 먹는 거야. 근데 그 모습이 일상적이지 않았어.
아이가 너무나 예쁜데, 더러웠어.
옷은 꼬질꼬질했고, 언제 씻었나 하는 생각이 들고, 목에는 아파트 열쇠를 걸고 있었어.
저렇게 예쁜 아이를 세상에 저렇게 내보낸 부모가 있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지.
게다가 이상한 건, 식판에 밥을 한가득 담고 밥을 먹고 있었어.
성인 남성인 내 식판은 비교가 되질 않을 정도였어.
‘저 아이, 우리 학교 학생 아닌가?’
다음 날 학교에 가서 저학년 교실을 기웃기웃하며 찾았어. 1학년이었어.
그래서 담임선생님에게 슬며시 가서 물어봤지.
“혹시 저 학생 가정환경에 대해서 말해줄 수 있어?”
“왜요?”
“교회에서 봤는데, 일상적이지 않았어.”
“말하기가 좀 곤란한데… 선생님, 실은 저 아이 지금 혼자 살아요. 아빠는 60 넘은 고령이신데 지방에 일하러 가시고, 엄마는 집을 나갔다고 했어요.”
“그래서 그랬구나… 그러면 평소에 누가 관리는 해주는 거야?”
지금은 상상할 수 없지만, 그때가 지금부터 20년 전이니까 복지 사각지대가 많았을 때야.
“선생님, 저 아이 수업 끝나면 도서관으로 보내주세요.”
드디어 수업이 끝나고 담임선생님이 아이와 함께 도서관으로 왔어.
“안녕, 난 도서관 선생님인데, 오늘부터 수업 끝나면 도서관에서 나랑 같이 놀래?”
그때부터 난 그 아이랑 도서관에서 놀았어.
1학년 중반이 지나가는데 아직 한글을 제대로 읽지 못해서 한글도 알려주고,
받아쓰기도 하고, 읽기도 쓰고, 책도 읽어주고, 진짜 그냥 놀았어.
그때 사귀던, 지금은 아내가 된 여자친구에게 부탁해서 아내 집에서 씻겨주고,
빨래도 해줬어. 내가 아는 인맥은 다 동원한 것 같아.
사회복지 담당 공무원에게 읍소해서, 사실 복지 대상은 아니지만 받을 수 있는 거나 도움이 될 수 있는 거 부탁드린다고 하고,
아이의 존재를 알려드렸어.
부녀회장님께 가서 회장님을 감동시켜서, 주민들이 돌아가면서 반찬도 해주셨어.
난 이런 일을 할 땐 정말 뻔뻔해지거든.
동료 교사에게 당당하게 말해.
“선생님 딸 입던 옷 좀 주세요.”
교회에 가서는 치과를 운영하시는 분에게 말해.
“진료 봉사 좀 해주세요.”
교장 선생님께도 요구했지.
“이 학생, 점심 공짜로 주세요.”
그렇게 3개월쯤 지났을 때, 아이의 아버지가 찾아오셨어.
10만 원이 든 봉투를 들고 오셨어. 고맙다면서 다시 자기는 지방에 내려가야 한다는 거야.
아버지는 정말 3~4개월에 한 번씩 나타나시더라.
우리는 그렇게 1년 넘게 지냈어.
점심시간이 지나면 도서관에 와서 같이 책 보고, 산책하고, 운동하고, 수다 떨었지.
같이 구구단도 외우고, 동요도 부르고, 숙제도 했지.
그래도 늘 마음은 무거웠어.
저녁이 되면 같이 밥 먹고 아이를 집에 데려다주는데,
아이 혼자서 잠들 걸 생각하면 마음이 늘 무거웠거든.
생각해봐. 초등학교 1학년이 혼자 집에서 텔레비전 보다가 잠드는 모습을.
2년쯤 지났을 때, 난 사정상 어쩔 수 없이 다른 지역으로 이사를 가야 하는 상황이 되었어.
아버지가 돌아오셨을 때 부탁했어.
“아버님, 기분 나쁘게 듣지 마세요. 혹시 아이가 아버지께서 출타하셨을 때 고아원에서 지내면 어떨까요? 요즘은
고아원이 아버님처럼 환경이 어려울 때 아이들이 잠시 거주하다가, 아버지가 보고 싶으실 때나 다시 데려가고 싶으실 때 언제든지 데려가실 수 있습니다.
제가 이제 멀리 떠나게 되었는데, 아무래도 아이가 혼자 있는 건 좋지 않을 것 같습니다.
제가 아는 분을 통해서 아이의 상황을 말씀드렸는데, 아버님의 뜻대로 하실 수 있게 언제든지 아이를 돌봐주겠다고 하셨습니다.”
사실 아버지 반응이 걱정되었는데, 흔쾌히 그렇게 가능하냐면서 좋아하시는 모습을 보는데 만감이 교차했어.
내가 이사 가던 날, 아이의 집에 100권의 책을 선물했어.
아이가 꼭 읽었으면 하는 책들을, 아이 나이에 맞는 책부터 점점 자라나는 나이에 맞게 사놨어.
그리고 모든 책의 앞장에 편지를 썼어.
“사랑하는 연화에게, 난 이 책을 읽고 너에게 주고 싶었어.”
그러면서 100권의 책과 100개의 추천 이유와 100개의 나의 사연과 100개의 해결책을 담아줬어.
그 후로도 자주 연락했고, 주변 사람들에게도 자주 부탁하는 전화를 하고, 가끔씩 찾아갔지.
중학생이 되면서 아버지와 함께 이사를 가고, 연락이 끊겼어.
그런데 아이가 스무 살이 되었을 때 연락이 왔어.
주변 사람들에게 수소문해서 전화를 했더라고.
“선생님, 저 연화예요. 저 대학생 되었어요.”
한참을 대견하다고, 자랑스럽다고 칭찬했어.
간신히 눈물을 참으면서 대화를 이어갔지.
“선생님, 저 선생님이 주신 책 다 읽었어요. 밤에 무서울 때, 고아원 갈 때, 싸웠을 때, 서러울 때, 그리울 때마다 책을 봤어요.
지금은 이사 다니면서 책이 사라졌지만, 마지막까지 ‘사랑하는 아빠’가 가지고 있어요.
너무 고마워요, 선생님. 저도 문헌정보 전공해요.”